* 서왕모·손불이 여단법 (女丹法) (기의 세계 22)
나종우 편역/여강출판사-270쪽-2002년1월10일
정가 : 원
책상태-양호함.
선주문 예약도서로 판매되어 책이 없습니다.
여러 선도 서적들 중에서 여자의 수련에 바른 길잡이가 될 만한 것들을 모아놓은 지침서.
손불이 내단시 주해, 서왕모 여수정도 십칙 등으로 구성되었고, 부록으로는 여동빈선인과
종리권 선인이 도에 대해 주고받은 문답집 '수진전도론'을 수록했다.
목차
머리말 5
손불이 내단시 주해(孫不二 內丹詩 註解)-11
손불이 내단결시 주해 황서(孫不二 內丹訣詩 註解 黃序)-13
손불이 여공내단시 해석 일러두기[孫不二 女功內丹 次第詩註 凡例]-16
심인경(心印經)-23 손불이 여공내단시 원문[孫不二 女功內丹次第詩]-25
손불이 여공내단시 풀이-35
하나. 수심(收心)-36 둘. 양기(養氣)-39 셋. 행공(行功)-42 넷. 참룡(斬龍)-46
다섯. 양단(養丹)-52 여섯. 태식(胎息)-56 일곱. 부화(符火)-59
여덟. 접약(接藥)-62 아홉. 연신(煉神)-67 열. 복식(服食)-73 열하나. 벽곡(辟穀)-75
열둘. 면벽(面壁)-77 열셋. 출신(出神)-79 열넷. 충거(沖擧)-85
여공정법-89
정리자 머리말[女功正法陳序]-91 총 론-94
첫째절. 마음을 정결히 하여 기초를 알다-96 둘째절. 경도를 수련하여 쓰임을 일으키다-98
셋째절. 용을 단절시키는 공부법-100 넷째절. 유방을 수련하여 어린아이로 만들다-102
다섯째절. 솥을 안정시키고 태(胎)를 맺다-103 여섯째절. 태식이 자연히 조절되다-105
일곱째절. 진액을 돌이켜서 태를 이루다-106 여덟째절. 단련하여 양신으로 변화시키다-107
아홉째절. 양신이 둥그렇게 빛나다-108 열째절. 따뜻하게 길러서 근원에 조회하다-109
열한째절. 공이 성취되어 범속을 뛰어넘다-110
(부록하나) 먼저 경도의 병을 치료함-111 (부록 둘) 끊어진 경도를 돌아오게 함-112
(부록 셋) 단결총록(丹訣總錄)-112
(부록 넷) 여단에 착수하는 활자시설[女丹下手活子時說]-116
서왕모 여수정도 십칙(西王母 女修正途 十則)-119
서언-121 서언-123 서왕모 여수정도 십칙(西王母 女修正途 十則)-125
영원대도가(靈源大道歌) 147 영원대도가(靈源大道歌)-149
부록․ 수진전도론(修眞傳道論)-155
여조 수진전도집 소서(呂祖 修眞傳道集 小序)-157
수진전도론 (상)-159
제일(第一). 진선(眞仙)을 논하다-159 제이(第二). 큰 도[大道]를 논하다-168
제삼(第三). 천지(天地)를 논하다-172 제사(第四). 일월(日月)을 논하다-178
제오(第五). 사시(四時)를 논하다-182 제육(第六). 오행(五行)을 논하다-188
제칠(第七). 수화(水火)를 논하다-195 제팔(第八). 용호(龍虎)를 논하다-200
제구(第九). 단약(丹藥)을 논하다-204 제십(第十). 연홍(鉛汞)을 논하다-210
수진전도론 (하)-216
제십일(第十一). 추첨(抽添)을 논하다-216 제십이(第十二). 하거(河車)를 논하다-222
제십삼(第十三). 환단(還丹)을 논하다-228 제십사(第十四). 연형(煉形)을 논하다-235
제십오(第十五). 조원(朝元)을 논하다-241 제십육(第十六). 내관(內觀)을 논하다-249
제십칠(第十七). 마난(魔難)을 논하다-258 제십팔(第十八). 증험(證驗)을 논하다-265
편역자 후기 271
'기, 단, 명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성첩경 (기의세계 12)-양청려 (0) | 2013.11.07 |
---|---|
천부의 맥 (天符의 脈)-황우연 (0) | 2013.11.06 |
영보필법 (개정판) (기의세계 19) (0) | 2013.10.04 |
영보필법 (개정판) (기의세계 19)-왕리핑 (0) | 2013.08.20 |
왕리핑 (경이의 초기공사) (0) | 2013.08.20 |